감마지티피(R-GTP)는 상황과 성별에 따라 정상수치가 달라지며, 수치가 높은 경우 적절한 생활 관리가 필요로 합니다. 오늘은 감마지티피 수치의 모든 것을 총 정리해봅니다. 감마지피티의 간략한 개념 지피티(GPT)는 주로 간에 위치한 효소의 이름입니다. 지티피는 간세포 안에 들어 있는데 간세포가 파괴되면 GPT가 간세포 안에서 빠져 나오게 됩니다. 빠져 나온 지피티는 혈액과 섞이게 되어 혈액속의 지피티 수치를 측정하면 간세포의 파괴량 정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즉 간기능이 안 좋아진 경우 감마지피티 수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감마지피티 수치 검사만으로 90% 정도의 간과 관련된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감마지티피 정상 수치 및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남자의 경우 11~60u/..
빈대(Bed bugs) 물린자국은 전문가라 하더라도 육안으로 구별이 거의 어렵습니다. 하지만 구별할 수 있는 특징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빈대에 대한 정보를 총 정리해봅니다. 빈대 개요 빈대는 20세기 전만 하더라도 세계에 가장 많은 해충 중 하나였습니다. 현재는 많이 개체수가 줄었으나, 살충제 등에 저항이 있는 빈대들도 많아져서 퇴치가 더욱 어려워 졌습니다. 일반적으로 침대에 살고, 가구나 옷 등에 서식하기도 합니다. 빈대는 한번 발생하면 재발률이 매우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빈대 여부 확인 방법 1) 모기와 거의 비슷한 물린 자국이 생깁니다. 모기와의 차이는 모양이 조금 더 둥글고 테두리가 분명합니다. 그러나 육안 구별은 힘듭니다. 2) 빈대의 유충이 탈피를 하면 허물이 집안에 남아 있을 수..
다래끼는 가벼운 병이지만 관리를 잘못하면 수술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다래끼의 초기증상과 올바른 관리법 주의할 점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다래끼의 종류 다래끼는 눈물 분비샘에 염증에 의해 발병하는 증상입니다. 크게 아래와 같은 2개의 종류가 있습니다. 1) 일반 다래끼(hordeolum)는 ‘겉다래끼’와 ‘속다래끼’가 여기에 속하며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다래끼입니다. 대다수의 다래끼가 이에 속합니다. 겉다래끼의 경우 눈꺼풀 표면에 발생하는 다래끼입니다. 증상은 부어 오르거나 가려우며, 붉은색을 띄고 심하면 통증이 느낍니다. 일반적으로는 쉽게 낫지만 관리를 못하여 속눈썹 근처로 감염이 확장되는 경우는 오래가거나 재발의 위혐이 있습니다. 속다래끼는 눈꺼풀 안쪽에 농양점이 발견되는 특징을 보입..